본문 바로가기

엄마영어 아이영어

초딩과 엄마의 하루 30초 100LS 모던패밀리 DAY6 + DAY7

여섯 번째 시간 [ep08_06]입니다.

 

Phill: I don’t think you two appreciate what’s at stake here.

Alex: Our lives?

Phill: You know I love your mother, but I think you also know a certain look she gets that says, “just listen to me, I’m always right.”

Haylie: You mean her face?

Phill: Now we’re getting this. If we right this one time, we never have to be right again. When she says that "balloon can’t carry a person, Phill”, I say “Manny’s birthday”

Alex: “Take your jacket, Alex. I think it’s gonna rain.”

Phill: “Manny’s birthday”

Haylie: Don’t look at me. Look at the road.

Phill: “Manny’s birthday”

Haylie: No, dad! Look at the road! There’s a truck!

Phill: Sweet baby!

 

단어 짚어 드립니다. 역시 딸래미가 초딩 4학년 때 노트에 정리하면서 적어 둔 단어 기준으로 알려 드립니다.


l  appreciate: 진가를 알아보다[인정하다], (제대로) 인식하다, 고마워하다

l  stake: 말뚝, (사업/계획 등의)이해관계. what’s at stake here: 여기서 무엇이 중요한지

l  also: 또한

l  get: 받다, 얻다, 구하다

l  carry: 나르다

l  person: 사람

l  certain: 확실한, 어떤(특정 정보없이 사람/사물을 언급할 때)


이번에는 Phill이 말을 빠르게 하네요. 문장을 암기하면 따라가기 좀 더 쉬워집니다.


Phill: I don’t think you two appreciate what’s at stake here. (너희는 지금 뭐가 중요한지 모르는 거 같네

>> appreciate을 보통 thank 대신으로 쓰는 단어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요, 여기에서는 appreciate가 가진 다른 뜻의 활용을 볼 수 있네요. 여기서는 ‘(제대로) 인식하다의 의미로 쓰인것을 알 수 있죠. 딸래미가 찾아 놓은 단어 stake 가 있는데요, stake 자체만 보면 말뚝, (사업/계획 등의)이해관계라는 뜻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외우는 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듯 하죠. ‘what’s at stake here (여기서 무엇이 중요한지)’라는 표현을 통으로 알고 갑시다. 네이버 사전에 검색하니 예문도 많이 나오네요. Most people don’t understand what’s at stake here.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기에서 무엇이 중요한지 이해하지 못한다.) You don’t know what’s at stake here. (당신은 무엇이 우리의 현안인지 모른다.) 예문을 찾아보니 또 하나 알 수 있는 것은 appreciate인식하다라는 뜻으로 쓸 때 understand 이나 know와 같은 맥락으로 쓰게 되는 거였군요. 단순히 know understand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에서 좀 더 어휘를 풍부하게 표현하고 싶을 때 appreciate 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빨리 발음하기도 쉽진 않죠. 한글로 적어보면 "아돈씽큐투어프리시에잇 왓챗스떼잌히어"정도 되겠네요. 제가 블로깅을 하면서 신기한건 한글로 발음을 적어보고나면 제가 발음할때도 좀 더 잘 되는것 같아요. 떼고 가야 할 발음 들을 과감히 떼게 된다는게 머릿속에 한번 더 정리가 되서일까요?

Alex: Our lives?(우리 목숨이요?)

Phill: You know I love your mother, but I think you also know a certain look she gets that says, “just listen to me, I’m always right.” (니 엄마를 사랑하지만 니네도 알 거라 생각하는데. 엄마가 그냥 내 말대로 해. 나는 항상 옳으니까.” 라고 말하는 듯 한 모습.)

>> 문장이 길고 말하는 속도가 빠르다보니 따라가기 쉽지 않죠. 한글로 발음을 적어볼까요. "유노 알러뵤오마더 버라이 씽큐올소노어썰튼룩쉬게스댓셋 저스 리슨투미 암올웨이ㅅ 롸잇" 본인이 발음을 최대한 따라하시면서 한번 한글로 발음을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무엇을 버려야 할지 머릿속에서 한 번 정리가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유노우 아이 러브 유어 마더"가 아니라 "유노 알러뵤오마더"가 되는거죠. 적은 한글이 저와 같지 않아도 상관 없습니다. 사전적으로 알고 있는 발음으로는 문장 전체를 따라갈 수 없습니다.

Haylie: You mean her face?(엄마 그 표정이요?)

Phill: Now we’re getting this.(그래 그거.) If we're right this one time, we never have to be right again. (이번에 우리가 맞았단 걸 보여주면 앞으로 그 소리 안 들어도 돼)

>> "If we're right this one time"을 한글 발음으로 적어보면 "이프유 롸잇 디스 원 타임"이 아니라 "이풔라잇디ㅅ원타임" 입니다.

Phill: When she says that "balloon can’t carry a person, Phill”, I say “Manny’s birthday”(니 엄마가 풍선 가지고는 못 날아, 이라고 말하면 난 매니 생일날이라고 말할 거야.)

  >> 자막에  When she says "that balloon can’t carry a person, Phill”이라고 써 있는데요, When she says that "balloon can’t carry a person, Phill”이 맞습니다. 잘 들어보시면 알거에요.

Alex: “Take your jacket, Alex. I think it’s gonna rain.”(“자켓 가져가라, 알렉스, 비가 올 거 같애.”

Phill: “Manny’s birthday”(“매니 생일날”)

Haylie: Don’t look at me. Look at the road. (저 보지 말고 앞에 보세요)

Phill: “Manny’s birthday”(“매니 생일날”)

Haylie: No, dad! Look at the road! There’s a truck! (아니, 앞에 보시라구요, 저기 트럭 있잖아요!)

Phill: Sweet baby! (얘들아!)


엄마가 가족들을 보살피려는 마음에서 하는 잔소리에 다들 저렇게 못잡아먹어 안달이라니 엄마로서 슬프군요. T-T

 

여기서 잠깐!

100LS의 주의사항을 다시 한번 강조해 드립니다. 대사를 외울 정도로 여러 번 연습했고, 심지어 대사를 암기했는데 100LS를 그냥 자기 말투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9등급 꼴찌, 1년 만에 통역사 된 비법]의 저자는 속도, 발음, 악센트까지 그대로 따라 하라고 말합니다. 배우들이 말하는 리듬, 억양, 말소리의 고저 등을 노래를 따라 부르듯 그대로 따라 하라는 말입니다.

 


[ep08_07]로 달려 볼까요.

 

Claire: We are so kicking your dad’s butt! We are the best ones!

Luke: How come you and dad are breaking up?

Claire: What?

Luke: If it’s just a little disagreement, can’t you just work it out?

Claire: Oh, sweetie, you thought that when I said we were splitting up. No. No, your dad and I are fine, honey. We just were gonna take separate cars to see who could get to the restaurant faster.

Luke: Oh, that’s a relief.

Claire: Ohh, you must have been feeling awful back there. I’m so sorry.

Luke: It’s OK.

Claire: Why did you say you’d go with your dad?

 

 

단어 짚어 드립니다. 역시 딸래미가 초딩 4학년 때 노트에 정리하면서 적어 둔 단어 기준으로 알려 드립니다.

l  kick: 차다

l  butt: 엉덩이, (도구등의)뭉툭한 끝부분, 담배꽁초

l  disagreement: 의견충돌

l  work something out: ~을 계산하다, ~을 해결하다, ~을 계획해내다

l  separate: 분리된, 분리되다, 분리하다

l  relief: 안도

l  awful: 끔찍한

 

한 문장씩 살펴볼까요.

Claire: We are so kicking your dad’s butt! We are the best ones! (우리가 아빠를 엿 먹이는 거야! 우리가 최고야!) 여기서 사실 kick your dad’s butt이라고 하면 니 아빠의 엉덩이를 걷어차다가 되겠죠. ^^

Luke: How come you and dad are breaking up? (어째서 엄마랑 아빠랑 이혼하는 거에요?) 제가 호주에서 유학중이던 당시 같은 스튜디오를 쓰던 호주인 학생이 제가 자기 옆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옮긴 것을 보고 “How come~?”이럼서 이유를 물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왜 자리 옮겼니? 내가 싫어서 그런 거야?” 뭐 이런 농담인 듯 농담 아닌 농담 같은 질문이었죠. 사실 전 그 때 “How come”이란 말을 첨으로 들어봤던 지라 머릿속으로 ‘How come? 이게 그냥 How랑 같은 건가?’ 마구마구 머리를 굴리며 아마 이유를 물어보는 거겠지하며 대충 얼버무려 대답했던 기억이 납니다. How come은 사전에 찾아보면 어째서, 등으로 나와있는데요, 사실 How랑 같다기 보단 Why랑 같다고 할 수 있겠죠.

Claire: What? (?) 영어에 아무리 존댓말이 없다지만 자기보다 나이 많은 사람에겐 되도록 삼가세요 ^^

Luke: If it’s just a little disagreement, can’t you just work it out? (사소한 의견차이인데 노력하면 안돼요?)

Claire: Oh, sweetie, you thought that when I said we were splitting up. (우리가 찢어진다고 했을때생각했구나) No. No, your dad and I are fine, honey. (아니, 너희 아빠랑 나는 괘찮아) We just were gonna take separate cars to see who could get to the restaurant faster. (다른 차로 누가 먼저 식당에 도착하는지 경주한다는 말이었어)

Luke: Oh, that’s a relief. (다행이에요)

Claire: Ohh, you must have been feeling awful back there. I’m so sorry. (정말 걱정했겠네, 미안하다)

Luke: It’s OK. (괜찮아요)

Claire: Why did you say you’d go with your dad? (근데 왜 아빠랑 간다고 한거야?)

 

말할 때 톤의 고저, 리듬, 억양, 속도 등을 그대~copy한다고 생각하고 달려봅시다. 원어민처럼 말하고 듣는 그 날까지! 영어 학습을 위해 30초 영상이 필요하신 분들께는 공유해 드립니다. 비밀댓글로 친절한 요청글과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